새만금위, 해수유통 본격 공론화…최종보고 후 결론 입장(R)
새만금개발사업의 성패가 달린
수질대책을 전면 재검토할
공론화 작업이 본격화 됐습니다.
24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새만금위원회는 환경부로부터
수질대책 종합평가 용역 중간 결과
보고를 받았습니다.
위원회는 최종 평가 이후
해수유통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단체가 주장하는 해수유통이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모형숙 기자입니다.
◀VCR▶
새만금위원회가 열리는
새만금컨벤션센터 앞.
환경단체가 새만금호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며 해수유통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자막:환경단체, 수질 개선 위해 해수유통 불가피▶
지금처럼 담수화를 추진할 경우
목표 수질을 달성하는 불가능하다는
환경부의 보고서가 나온 만큼
해수유통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해수유통을 5년 뒤로 미루자는
전북도의 주장은 최악의 수질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라며
새만금위원회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SYNC:남 대 진 새만금 해수유통 추진 공동행동 공동대표▶
“올해 안에 해수유통이 결정되지 않고 또 다시 담수화로 결정이 된다면
군산시민은 단 한 뼘의 갯벌도 바라볼 수가 없게 됩니다.”
◀자막:강임준 “해수유통 결단 필요할 때”▶
군산시도 새만금 수질개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수유통 이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INT:강 임 준 군산시장▶
“새만금 수질이 이 상태로 과연 유지를 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 때문에 해수유통의 가능성을 다 열어 놓고
허심탄회하게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자막:새만금위원회, 필요성 공감하지만 당장 결정 못해▶
새만금위원회도 지속적인
수질개선과 농업용수 확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습니다.
◀SYNC:정 세 균 국무총리▶
“새만금 성공을 위해서는 개발과 환경이 함께 가야 합니다.
깨끗한 수질과 농업용수의 안정적 확보 등을 통해 환경부와 농식품부 등
관계기관에서는 대책을 면밀히 검토해서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전북도의 반대와
담수화를 전제로 마련된 새만금 사업 기본계획 때문에
해수유통 여부는 당장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자막:새만금위원회, 해수유통 여부 최종 결과 나오면 결정▶
이번 위원회에서는
새만금 수질대책 종합평가 용역 결과에 대해 중간보고됐고
올해 말 최종 평가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위원회는 이를 토대로
수질대책을 손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상취재:김 덕 용▶
첫 발을 디딘지 30년이 되는 새만금 사업.
친수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전향적인 변화와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CN NEWS 모형숙입니다.


